한글 읽기전용 해제
☞ 컴퓨터 문서작성을 한 후 저장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타인이 수정을 할 수 없도록 보안형식을 지정하게 됩니다. 문서의 중요도에 따라 원본, 사본, 배포방식에 따라 구분하고 분류를 합니다. 그리고 보안을 걸어두고 배포가 되었더라도 상대방과의 관계 및 옵션, 결제방식에 따라 보안암호를 제공해주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. 스스로 잠궈두었던 보안의 한글 읽기전용 해제 방법 관련하여 보았습니다.
☞ 워드 문서를 작성하면서 평소 잘 사용하지 않는 구간이 있습니다. 이런 기능이 있었던 것인가 하는 생소한 분들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. 자주 사용은 하지 않지만, 문서 중요도에 따라 적용을 해주는 것이 매우 좋기 때문에 알아두어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.
☞ 워드 및 한글2007 2010 2019 프로그램의 버전에 따라 인터페이스 UI가 약간씩은 상이할 수 있습니다. 그러나 대부분의 기본적인 기능은 동일할 것입니다. 상단의 보안 메뉴에서 배포용문서 또는 보안문서 저장 기능으로 사용을 하면 되겠습니다. 그밖에도 버전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더 강화된 방법으로 공인인증서 암호화 및 전자서명 등의 방식으로도 저장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. 외부유출이 되어서는 안되는 자료가 분명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암호걸기 방법은 언제 어디에서나 중요한 것 같습니다.
☞ 파일 자체의 속성에서 읽기형식으로 변경이 가능합니다. 하지만, 파일읽기 후 그 안의 데이터 자료내용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일반배포용으로는 가능할 것입니다.
☞ 이는 누구나 언제든지 해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자주 사용되지 않는 방법입니다.
인터넷이 연결된 곳이라면, 보안의 중요성이 강조됩니다. 한글 읽기전용 해제 저장 방법으로 위험한 곳으로부터 안전함을 지키기 바랍니다.